중국의 4대 미녀 (서시,왕소군,초선,양귀비)
경국지색의 주인공 서시(西施)
서시는 춘추전국시대 말, 월(越)나라의 미녀이다. 하루는 그녀가 강변에 있는데 맑고 투명한 물이 그녀의 얼굴을 비추자 수중에 있던 물고기가 그
미모에 놀라 헤엄치는 것을 잊고 물밑으로 가라앉았다고 한다. 그녀의 미모에 비단 물고기만 놀란 것이 아니다. 당시 오(吳)나라의 왕 부차와
월(越)나라의 왕 구천이 싸우던 중 구천이 패하게 되어 항복하고 부차의 신하가 될 것을 약속한다. 하지만 구천은 치욕을 씻기 위해 뛰어난 미모를
소유한 서시를 부차에게 바치면서 미인계를 쓰고, 부차는 서시의 미색에 빠져 국정은 돌보지 않고 정치를 태만하게 한다. 그 틈을 타 구천은 부차를
공격하여 오나라를 패망시킨다. 오나라가 패망한 뒤 서시는 구천의 후궁이 되어 총애를 받지만 구천의 정부인에게 비밀리에
제거당한다.
‘경국지색(傾國之色)’의 주인공이자 영웅호걸들의 애간장을 녹인 장본인 서시.
뇌물을 주지 못해 추녀로 그려질 수밖에 없었던 왕소군(王昭君)
한(漢)나라의 왕소군은 재주와 용모를 두루 갖춘 팔방미인이다. 당시 한나라의 원제는 궁녀들의 초상화를 화공에게 그리게 하여 초상화를 보고 아름다운 궁녀를 골라 총애하였다. 궁녀들은 자신들을 예쁘게 그려달라고 화공에게 앞다투어 뇌물을 바쳤다. 그러나 가난했던 왕소군은 뇌물을 주지 못해 본인의 외모와는 상반되는 미운 초상화가 그려질 수 밖에 없었다. 당시 화친을 위해 북쪽 흉노왕에게 궁녀를 보내려던 원제는 초상화 가운데 가장 못생긴 왕소군을 뽑아서 보내도록 하였다. 원제는 이별의 인사를 하는 자리에서야 비로소 왕소군의 모습을 보게 되고 그 미모에 반하지만 어쩔 수 없이 흉노왕에게 보내고 만다. 결국 그녀는 흉노왕의 아내가 되어 싸움이 빈번하던 두 나라를 50년 이상 원만한 관계로 유지시킨다. 현대 중국인들은 왕소군을 고대 영웅 중 한 사람으로 꼽기도 한다.
여포와 동탁의 그녀 초선(貂蟬)
초선은 중국의 4대 미녀 중 유일한 가상인물이다. 초선은 삼국지 초기에 나오는 인물로 한(漢)나라의 대신 왕윤(王允)의 수양딸로 용모가 명월 같았을 뿐 아니라 노래와 춤에 능했다. 하루는 초선이 화원에서 달을 보고 있는데 구름 한 조각이 달을 가리우자 그 모습을 본 왕윤은 "달도 내 딸에게는 비할 수가 없네. 달이 부끄러워 구름 사이로 숨어 버렸구나."라고 말해, 이 때부터 초선은 폐월(閉月)이라고 불리게 되었다. 비록 양아버지였지만 초선을 진심으로 사랑해주었고, 그녀 또한 그를 잘 따랐다. 훗날 초선은 왕윤의 부탁을 받고 은혜에 보답하고자 그의 계략을 실행에 옮긴다. 미인계를 써서 동탁과 여포를 이간질 시켜 서로 질투하게 하고 배신하게 하여 결국 여포로 하여금 섬겨야 할 주인인 동탁을 칼로 베어 죽이게 한다. 동탁을 죽게 만든 후 초선 또한 의로운 목숨을 거둔다.
안타까운 죽음을 맞이한 절세미인 양귀비(楊貴妃)
‘자질풍염’미인으로 유명한 양귀비는 당 현종의 후궁이자 며느리이며, 본명은 양옥환(楊玉環)이다. 본래 현종과 무혜비 사이에서 태어난 아들인
수왕의 비로 17세 때 궁에 들어왔으나 시와 노래에 뛰어난 보기 드문 절세미인으로 현종의 눈에 들게 되어 간택되었다. 현종이 양귀비를 무척
사랑한 나머지 그녀의 딸들도 현종의 비로 맞아들여졌고, 사촌오빠인 양국충은 재상이 되었다. 한편 돌궐족 출신인 젊은 장군 안녹산은 양귀비가 무척
예뻐하던 양자였는데, 양귀비의 득세를 등에 업고 엄청난 권세를 누리게 된다. 양국충은 자신의 자리를 위협받자 안녹산을 제거하려고 하지만 이를
눈치 챈 안녹산이 ‘안사의 난’을 일으킨다. 이로 인해 수도가 점령당하자 현종과 황실은 피신해야만 했고, 도망가던 중 현종의 친위병들은 황실의
몰락이 양씨 일가 때문이라고 여겨 양귀비와 양국충을 처형하라고 현종에게 제기한다. 목숨과 사랑 중 목숨을 택한 현종은 결국 양귀비를 처형하는데
동의하고 양귀비는 자결 아닌 자결로 안타까운 죽음을 맞이하게 된다.